break 요구사항에 ~출력하되, ~가나오면 반복을 끝낸다 즉 for문과 if문을 사용한 후 break하라라고 해석할 수 있다. 예제로 fruits=['apple',blueberries','mango','watermelon'] 이라고 변수를 저장한 후 for data in fruits: ## fruits를 data에 저장한 후 print(data) ## data를 출력하라. if data == 'mango' : ## data의 데이터 값이 'mango'라면 break ## 반복을 끝낸다 출력 값에 apple blueberries mang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range() range함수란 지정한 범위안에 들어있는 정수들의 리스트를 만들어주는 함수이다. range(10) 이라고 입력한후 실행하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