히스토그램
구간을 설정하여, 해당 구간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몇개인지 세는 차트
각 구간을 bin이라고 하며 보통 복수형인 bins라고 부른다
히스토그램은 똑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bin에따라 차트모양이 바뀌기 때문에 해석이 달라진다
plt.hist(data= 데이터프레임 , x='컬럼')
직관성이 떨어지니 막대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는
rwidth = 0.n
n의 간격
bins = n
n은 디폴트가 10개이고 수정가능
모든 범위에서 빈값을 나눌경우
최소값과 최대값으로 범위를 지정해서 변수로 지정해서 bins에 넣어저도 가능하다
히스토그램 기본 plt.hist(data= 데이터프레임 , x='컬럼명', rwidth = 0.n, bins = ) |
'파이썬 > 데이터 시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데이터시각화6 Heatmaps (0) | 2022.11.28 |
---|---|
파이썬 데이터시각화5 Scatterplots/regplot/pairplot/상관계수 (0) | 2022.11.28 |
파이썬 데이터시각화 라이브러리4 subplots (0) | 2022.11.28 |
데이터시각화 라이브러리2 파이차트 (0) | 2022.11.28 |
데이터시각화 라이브러리1 카운트플롯 matplotlib/seaborn/plt/barchart (0) | 2022.11.28 |